본문바로가기
주메뉴
Home
People
Professor
Lab Members
Research
Research fields
Research highlights
Journal covers & artworks
Publications
News
Photo
Open Positions
주메뉴
People
Research
Publications
News
Photo
Open Positions
News
Prof. Zonghoon Lee’s Atomic-Scale Electron Microscopy Lab
News
[2024/11] 2차원 고압 나노 반응기를 활용한 고체화학 반응의 새로운 길
성균관대 신현석 교수 연구팀이 2차원 소재 사이에 형성된 고압을 이용해 새로운 고체화학 반응을 발견했다. 이 연구는 복잡한 고압 장치 없이도 2차원 적층 구조만으로 고압 화학 반응을 유도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연구팀은 그래핀이나 육방정계질화붕소(h-BN) 같은 2차원 소재의 두 층 사이에 형성된 반데르발스 힘이 최대 7GPa에 달하는 높은 압력을 만들어낸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압력을 이용해 촉매 없이도 유기 화합물의 탈수소 고리화 반응(cyclodehydrogenation react..
[2024/07] Honors & Awards
Congratulations! Handolsam Chung received MSA Student Poster Award in 2024 Microscopy & Microanalysis conference.
[2023/07] Honors & Awards
Congratulations! Jongchan Yoon received MSA Student Poster Award in 2023 Microscopy & Microanalysis conference.
[2023/06] Plenary talk in Korean Society of Microscopy Conference
Prof. Zonghoon Lee gave a plenary lecture at The 2023 Annual Spring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of Microscopy. Title: Advances in Two-Dimensional Materials Research using Aberration-Corrected TEM/STEM Prof. Zonghoon Lee received Special Achievement Award from Kor..
[2022/12] Keynote Speech at the EAMC4 2022
Prof. Zonghoon Lee gave a keynote speech at The 4th East-Asia Microscopy Conference (EAMC4) in Taiwan.
[2022/11] Keynote Speech at the Thermo Fisher Scientific Users Meeting 2022
Prof. Zonghoon Lee gave a keynote speech at the Thermo Fisher Scientific Users Meeting in Maison Glad Jeju.
[2022/09] UNIST '1나노 반도체' 원자층 트랜지스터 제조기술 개발
국내 연구진이 반도체 소자 속 반도체와 금속 사이를 '1나노미터(㎚·10억 분의 1m)' 이하로 줄이면서 고성능을 유지하는데 성공했다. UNIST(울산과학기술원)는 신소재공학과 권순용·이종훈 교수팀이 반도체 물질과 '초미세 금속 전극'이 0.7나노미터(원자 3개 크기)를 두고 수평으로 접합된 '고성능 초박막 반도체' 소자를 원하는 형태로 합성(patterning)하는 데 성공했다고 5일 밝혔다. 반도체 칩(Chip)의 성능을 높이려면 칩을 구성하는 개별 소자를 아주 작게 만들어야..
[2022/08] Honors & Awards
Congratulations! Aram Yoon received M&M Student Scholar Award in 2022 Microscopy & Microanalysis conference.
[2022/04] ‘산업의 쌀’ 에틸렌, 석유 대신 이산화탄소로 만든다!
UNIST·KENTECH·KAIST 연구팀... 이산화탄소를 에틸렌으로 바꾸는 전기화학 촉매 개발최고 변환 효율·상용화 기준 뛰어넘는 전류밀도 기록...Energy Environ. Sci. 게재석유 대신 이산화탄소로 에틸렌을 만드는 기술이 개발됐다. 에틸렌은 플라스틱, 각종 건축자재, 비닐, 합성고무 등의 원료로 쓰여 석유화학 산업의 쌀로 불린다.UNIST는 에너지화학공학과 권영국 교수팀이 이산화탄소를 원료로 활용해 에틸렌을 생산하는 구리알루미늄 합금 촉매를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
[2022/04] '나선 은하 닮은’ 그래핀 발견
UNIST 신소재공학과 펑 딩·이종훈 교수팀.. 나선 형태 그래핀 흡착층 형성 원리 규명그래핀 용도에 맞게 두께 조절할 수 있는 합성법 단서... Adv. Mater. 게재UNST는 신소재공학과 펑 딩(Feng Ding)·이종훈 교수 연구팀(이상 IBS 다차원탄소재료 연구단)은 나선 은하 모양으로 합성된 그래핀 흡착층을 최초로 발견하고 이를 새로운 이론으로 규명해 냈다고 29일 밝혔다. 흡착층(adlayer)은 원래 그래핀 층 아래에 덧대어 생기는 또 다른 그래핀 층을 말한다. 이번 연..
[2021/10] Keynote Speech at the IUMRS-ICA 2021
Prof. Zonghoon Lee gave a keynote speech at IUMRS-ICA 2021.Title: Recent Advances in Two-Dimensional Materials Science using Atomic-Resolution S/TEM
[2021/10] Honors & Awards
Congratulations! Dr. Kangsik Kim and Aram Yoon received Oral Awards in IUMRS-ICA 2021
[2021/09] ‘Most perfect graphene ever’ grows fold-free on metal foil
A team of researchers in Korea claims to have synthesized the most perfect large-area single-crystal graphene film ever by pinning down the temperature above which unwanted folds naturally develop in the carbon sheet. The new fold-free film will likely be used to make high-perfor..
[2021/07] 반도체 회로선폭, 2나노 이하도 가능하다
IBS, 흑린 반도체에 0.43나노미터 전도성 채널 구현반도체 미세 공정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는 가운데 국내 연구진이 1나노미터보다 작은 선폭의 전극을 실험실에서 구현했다고 발표해 주목된다.연구팀은 전극과 반도체를 합쳐 1.743나노미터 두께의 회로선폭을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반도체는 회로의 선폭을 가늘게 만들수록 성능 향상에 유리하다. 단위 면적당 더 많은 소자를 집적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상용화된 반도체 미세공정의 회로선폭은 5나노미터다. 최근 인텔과 TSMC가 2024년까지 2나..
[2021/07] Featured on the Front Cover of Nano Letters
Congratulations! The paper authored by Suk Woo Lee has been selected as a front cover by Nano Letters, one of American Chemical Society journals.
열린
1
페이지
2
페이지
3
페이지
4
페이지
5
페이지
맨끝
제목
내용
제목+내용